최근 독일 예나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가 흥미롭다.
화를 많이 내면 수명을 2년 더 연장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화내는 것이 오래 사는 비결이란 것이다.
http://www.flickr.com/photos/amanky/351269265/
이유는 이렇다.
부정적 감정을 드러내 발산함으로써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
나는 회사생활을 하면서도 화가 나야 하고, 화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신적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다.
건강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 그렇다는 것이다.
뭔가를 잘해보려고 내는 화는 발전을 위한 좋은 에너지이다.
자신이 더 잘하지 못해 스스로에게 내는 화,
몸담고 있는 조직이 잘못된 방향으로 갈 때 안타까워 내지르는 화
이 모두가 발전을 위한 좋은 에너지다.
모든 게 잘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화낼 일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마도 십중팔구 열정이 사그라졌거나 무사안일, 적당주의의 함정에 빠진 사람이다.
나는 고상한 사람이 이어서 화내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마도 그 사람은 눈에 뻔히 보이는 문제를 보고도 외면할 사람이다.
무엇인가 개선하고 발전하려는 조직에서 어떻게 화낼 일이 없을 수 있겠는가?
아무도 화내지 않는 조직, 그것은 역동성을 잃어버린 조직이다.
좀 심하게 얘기하면 죽은 조직이다.
적어도 살아있는 조직이라면 큰소리도 나고 때로는 격한 논쟁도 벌어져야 한다.
화내는 것은 상사의 전유물도 아니다.
개선과 발전의 열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화를 낼 수 있고 화를 내야 한다.
http://www.flickr.com/photos/kaleidico/7831677602/
특히 리더의 자리에 있는 사람은 더욱 그렇다.
나는 리더란 ‘쇼를 하는 사람’, 즉 말과 행동으로 보여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리더가 당연히 화를 내야 할 순간에 화내지 않으면 부하직원들은 무엇이 잘못되고 무엇이 잘된 것이지 분간하기 어렵다.
화를 낼 일이 있으면 화를 내자.
그리고 또 기쁜 일이 있으면 소리 내어 웃자.
그래야 살아 있는 조직, 살맛나는 회사생활이 되지 않겠는가.
|
'곽재선회장의 경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관'키워드로 보는 경영이야기 (0) | 2013.06.20 |
---|---|
창조적이지 못한 회사는 수비지향적 기업문화 성향이라는데.. (0) | 2013.03.04 |
화내는 것이 오래 사는 비결인 이유를 알아보니.. (1) | 2013.02.14 |
패배자가 될지언정 실패자가 되지는 말자 (0) | 2013.02.04 |
인생의 허들을 피할 것인가? 맞설 것인가? (1) | 2013.01.28 |
시대가 변해도 변하지 않는 리더에게 필요한 네 가지! (0) | 2013.01.23 |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